옵셔널 스위프트에서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한 선언방법 정의된 값이외에 값일 경우 nil를 반환하도록 함 옵셔널 사용 객체나 데이터 다루기 객체나 데이터를 이용한 함수, 프로퍼티, 첨자 접근 등 유효한 객체나 유효한 값에서 정상 동작 nil 에서는 - 비정상 동작 옵셔널 타입 사용 옵셔날 타입의 객체는 nil일 수도 있다 -> 옵셔널 타입 객체는 다른 사용방법 있음 nil인 경우아 nil아닌 경우를 고려 잘못된 옵셔널 사용 예 var optionalStr : String? if optionalStr != nil { print("nil이 아니다!") } else { print("nil이다") } 옵셔널 타입의 객체 사용방법 옵셔널 타입 : nil이거나 혹은 유효한 값 언래핑 : 옵셔널 타입의 변수에서 유효한 ..
if 조건문 if 3 > 2 { print("3은 2보다 크다!") } /*실행결과 3은 2보다 크다! */ nil 비교시 != == nil을 붙어야 함 if - else var bloodType = "AB" if bloodType == "B" { print("혈액형은 B") } eles if bloodType == "A" || bloodType == "O" { print("A 나 O형") } else { print("그러면 AB형?") } /*실행결과 그러면 AB형? */ if - let 바인딩 - 바인딩 : 유요한 값 판단( nil 여부) //vall 이 nil이 아니면 본문내용 실행 //return 타입은 optional! if let val = someFunc(){ print("\(val)") }..